정대협과 나눔의집은 사실과 다른 내용을 가지고 국가예산을 수령한 것으로 의심됩니다.
2003년 당시 여성부가 파악한 위안부 수는 총 128명이라 합니다. 여성부가 작성한 2004.4-12월 9개월간의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치료사업 추진계획’은 위안부 관련 단체들의 정체성을 잘 드러내 줍니다. 이 치료사업추진계획은 당시 살아있거나, 또는 일부 유명을 달리 한 위안부들을 포함해 128명이며, 이들을 치료해 주겠다는 예산이 1억7,900만원으로 편성돼 있습니다.
이 예산의 배정근거를 위해 128명의 위안부는 아래와 같이 ‘위안부나눠먹기’식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정대협: 88명 정신대할머니와 함께 하는 시민모임(대구): 21명 나눔의집:13명 기독살림여성회: 6명
그러나 여기에는 기막힌 사례들이 있습니다.
심미자 회장은 나눔의집과 결별한지 오래인데 나눔의집 13명 중에는 심미자 이름이 포함돼 있습니다. 또한 나눔의집은 위안부 10명에 대한 수용시설 밖에 없는데도 불구하고 13명에 대한 예산을 신청한 것입니다.
무궁화회 할머니들의 대부분은 정대협과 나눔의 집을 1995년부터 결별한 상태에 있습니다. 그런데 이들 위안부 관련 조직들은 33인의 무궁화회 할머니들 모두의 명단을 포함하여 128명에 대한 예산 타내기에 사용됐습니다.
더구나 정대협 사무총장 윤미향은 시사쟈키 기사에서 심미자회장은 위안부 경력에 대한 신빙성에 문제가 있어서 UN 인권위 증언집에서 심미자회장을 빼버렸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신빙성 없다고 주장하는 심미자 회장을 왜 128명에 포함시켜 예산을 받아냈는지 정대협과 나눔의집은 밝혀야 합니다.
더구나 이 128명 중에는 앞에 입증한 바의 소위 ‘의심되는 위안부’의 이름까지 들어 있습니다.
정대협과 나눔의 집의 이러한 예산 타먹기 사례에 대해 조사해 달라는 고소장이 제출돼 있습니다.
|
|